FireStore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면 FireStore에 어떤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지 DB 구조 설계를 해야한다. 확장성을 고려해서 하면 추후 추가되었을 때 저장된 데이터를 전부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설계를 진행할 때는 FireStore문서에 있는 데이터형식등을 참고한다. 신기했던 데이터형식 중 하나는 reference라는 데이터형식이 있었는데 특정 문서를 참고할 수 있는 게 데이터를 변경할 때 편리할 것 같다.
Sentry를 공식문서를 확인해 봤다.
Cocoa Sentry 를 확인해본 결과 iOS말고도 macOS, watchOS, visionOS, tvOS등 모두 지원하고 충돌로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성능확인도 할 수 있고, HTTP status Code별로 표시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앱이 사용자이벤트를 받을 수 있는지 모니터링 하는 애플 자체의 WatchDog 종로여부도 표시할 수 도 있었다. 충돌로그를 확인하고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하려면 다른 옵션들(Http 종료여부, WatchDog 종료여부는 미표시)을 제외하고 충돌시 추가데이터(충돌시 프로젝트의 코드 표시, 스크린샷과 뷰의 계층구조 첨부파일 추가)를 보내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Bitbucket은 HTTPS를 이용하여 비공개저장소에 접근할 때 인증방식을 App Password를 통해 진행한다.
AppPassword를 발급받을 때는 권한허용범위를 지정한 후 발급받을 수 있어서 해당 범위를 처음부터 설정을 할 때 고려해야 했다. 그래서 Mac Runner에 설정된 AppPassword를 재발급받고 Mac Runner의 AppPassword 설정된부분을 모두 수정하였다.
git credential-helper를 사용하면 맥북의 키체인을 통하여 저장된 AppPassword를 가져와여 인증을 할 수 있어서 credential-helper도 설정하여서 인증부분관련해서는 작업을 모두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