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K는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의 약자로, 로그 데이터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 시각화하기 위한 오픈소스 스택입니다. 각각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해당 내용에 대해서 알아본 이유는 ElasticSearch를 통해 앱에서 발생한 로그를 파악하는 방법을 알게되어 알아보게 되었다.
날짜형식 문자열을 Date 타입으로 변경하고 싶을 때 DateFormatter를 사용하여 타입을 String → Date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날짜를 변환하다 보면 여러가지 고려해야할 부분이 많은데 이번에 알게된 내용들이 있습니다.
1956.05.20
날짜형식 문자열이 제대로 포맷되지 않는 이슈가 있었다. 예상 이유는 일광절약시간(DaylightSavingTime)이라고 한국에서 과거에 썸머타임제도를 도입한 적이 있어 여름에 1시간을 더 앞당기는 정책등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 중인데 날짜를 다룰 때 해당 정책에 대해서 인지하고 사용해야할 것 같다.var formatter = DateFormatter()
formatter.dateFormat = "yyyy.MM.dd"
formatter.locale = Locale(identifier: "ko_KR")
formatter.timeZone = TimeZone(identifier: "Asia/Seoul")
let returnDate = formatter.date(from: "1956.05.20")
print(returnDate ?? "")
해당 예시코드를 보면 returnDate 값이 TimeZone이 Seoul이라면 nil이 되고 다른 국가로 설정하면 제대로 변환됩니다.애플로그인을 이용할 때 나의 이메일 가리기
라는 옵션이 있는데 해당 옵션을 선택하여 가입하게 되면 무작위로 이메일주소가 생성되고 도메인은 privaterelay.appleid.com 으로 생성됩니다.
추가적으로 나의 이메일 가리기
옵션은 iCloud에도 존재하는데 해당 서비스는 iCloud+ 유료서비스를 사용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애플로그인과 별개로 임의의 이메일을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혼동에 주의해야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