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을 사용하다 보면 저장 공간의 시스템 데이터가 용량이 커지는 경우가 있거나 빌드 데이터등이 커져 부족한 경우가 있어서 간단하게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 Xcode를 사용 중이라면 저장 공간 → 개발자 항목 중
프로젝트 빌드 데이터 및 인덱스
, 프로젝트 아카이브
(앱 패키지 저장 공간), iOS 기기지원
(실기기 연결시 해당 버전별로 설치된 파일) 등을 정리합니다. - 저장 공간 → 응용프로그램 중 미사용 프로그램 제거
- 저장 공간 → 문서 중 미사용 파일들 제거
- 저장 공간 → 시스템 데이터 정리
- 경로별로
$ sudo du -sh -h *
명령어로 해당 경로 내에 용량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ibrary/Application Support 경로에서 미사용 중인 항목들 제거
- ~/Library/Caches 경로에서 미사용 중인 항목들 제거
- ~/Library/Containers 경로에서 미사용 중인 항목들 제거
- ~/Library/Developer/CoreSimulator
- 용량이 높다면 Xcode 설정 → Components → Other Installed Platforms 제거
📃 DocC
DocC는 Markdown 기반 텍스트로 문서를 작성하도록 제공해주는 애플의 공식 문서화 도구입니다.
DocC는 Article 형식, API 문서 형식(애플 공식 문서와 유사한 스타일), Tutorial 형식 등을 제공합니다.
DocC가 제공하는 기능 중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Tutorial 형식으로 이번에 제작한 강의에서 강의자료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서 해당 기능을 사용하여 강의자료를 제작해볼 예정입니다.
🙋🏻♂️ 기타 사항
- 네이버지도 API가 다음달부터 AI NAVER API 내 상품에서 Maps로 점진적으로 변경예정이어 AI NAVER API 내에서 지도 API를 사용하면 무료이용량이 제공되지 않아 변경이 필요했습니다. 변경하게 되면 인증방식이 조금 변경되어 SDK 버전은 3.21.0 이상을 사용해야 하고 clientId 설정을 ncpKeyId로 설정하도록 변경해야 합니다.
- 취미로 파이썬으로 크롤링을 하는 작업을 진행해보고 있습니다.
- 아나콘다 설치 후 사용방법과 셀레니움을 이용한 크롤링